본문 바로가기
뉴스

AI 시대, 일자리 변화의 두 갈래 길… 활용할 것인가, 피할 것인가?

by 러닝숲지기 2025. 3. 23.

목차

    반응형

    AI 시대, 일자리 변화의 두 갈래 길… 활용할 것인가, 피할 것인가?

    AI가 바꾼 창의 영역, 일자리 시장의 변화

    미술·음악 등 창의적 분야에도 인공지능(AI)이 들어왔다. 이에 따라 직업 시장도 변화하고 있다. 취·창업계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하려는 부류와 AI를 피해 돌파구를 찾는 부류로 나뉜다. 경기도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AI 기본 조례를 제정하고 AI국을 신설하는 등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AI 활용에 나서는 사람들

    AI 교육에 몰리는 직장인과 취업준비생

    수원특례시의 한 컴퓨터 학원에서는 지난해 11월 신설된 AI 강의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는 직장인과 취업준비생들이 몰리며 초과 신청이 이어졌다. 방학 중 추가 수업도 개설될 정도다.

     

    이 학원에서 3D 영상 및 모델링을 공부하던 전경민 씨(25)는 올해부터 AI 프로그램 수강을 추가했다. 그는 "주변에서 AI를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사례를 보고 저에게도 필요하겠다고 생각했다"며 "반복 작업이 줄어들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AI를 피해 전환을 모색하는 사람들

    반면, AI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을 배우려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경기남부의 한 인테리어 학원에서는 도배, 타일 등의 교육이 인기를 끌고 있다. 20~30대 수강생도 눈에 띄게 증가하는 추세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였던 김솔지 씨(32)도 도배 수업을 듣고 있다. 그는 "AI 프로그램으로 제 그림이 무단으로 사용된 경험이 몇 차례 있었다"며 "오래 지속할 수 있는 기술을 배우기 위해 인테리어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어 "직접 해보니 더 재미있고 만족스럽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대응과 청년 AI 교육 강화

    정부는 AI 시대에 대비해 청년 맞춤형 AI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은 올해 총 280억 원을 투입해 AI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 AI·소프트웨어(SW) 전문 인재 양성과정 확대
    • 동기 부여 프로그램 신설
    • 진로 체험 지원
    • 생성형 AI 전문가 양성 과정 운영

    오픈AI의 챗GPT, 중국의 딥시크,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그록3 등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정부도 이에 맞춰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AI 시대, 선택은?

    AI가 발전하면서 일자리 시장에서도 AI를 적극 활용하는 쪽과 회피하는 쪽의 입장이 나뉘고 있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기술 변화에 민감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존재한다"며 "AI를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표절 문제나 개인정보 보호 등의 윤리적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