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영화 <하얼빈>, 2024년 최고 기대작 개봉!

by 러닝숲지기 2024. 12. 21.

목차

    반응형

    영화 <하얼빈>, 안중근 의거를 스크린에 담다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다룬 영화 하얼빈이 24일 개봉합니다. 2024년 최고 기대작 중 하나인 이 작품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위축된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까요? <하얼빈>은 18일 언론·배급 시사를 통해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1908년부터 시작된 이야기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1908년, 함경북도 신아산에서 안중근이 이끄는 독립군이 일본군과 벌인 전투에서 적은 병력으로 승리한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 그는 전쟁 포로였던 일본군을 풀어주었고, 이는 곧 독립군의 희생으로 이어졌습니다. 1년 뒤, 안중근과 동지들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다시 모여 조선 식민지화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제거하기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고뇌와 의심, 그리고 의거

    영화는 신아산 전투에서 시작해 하얼빈 의거라는 정해진 결말을 향해 달려갑니다. 역사가 스포일러라는 말처럼 모두가 아는 이야기지만, 영화는 의거보다도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독립투사들이 느끼는 고뇌와 서로 간의 의심을 주된 소재로 삼았습니다. 일본이 심어놓은 밀정은 작전 정보를 흘리며 독립군 내부에 균열을 만듭니다.

    우민호 감독의 묵직한 연출

    우민호 감독은 <남산의 부장들>, <내부자들>에서처럼 한국 현대사를 스릴러로 풀어낸 바 있습니다. 이번 영화에서도 그는 묵직하고 차가운 연출과 미장센을 통해 1900년대 초의 혼란기를 생생하게 재현했습니다. 무채색을 제외한 색상을 극도로 제한하고 빛과 어둠을 활용하는 연출 방식도 이어졌습니다.

    아이맥스 포맷으로 재현한 역사

    <하얼빈>은 한국 영화 최초로 전체 분량을 아이맥스 포맷으로 제작했습니다. 컴퓨터그래픽(CG)을 최대한 배제하고, 6개월 동안 한국, 몽골, 라트비아 3개국을 오가며 당시의 풍경을 화면에 담았습니다. 특히 영하 40도의 극한 추위를 견디는 독립군의 모습은 압도적입니다. 홍경표 촬영 감독의 손길로 완성된 안중근이 꽁꽁 언 두만강을 건너는 장면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관객의 기대를 뛰어넘다

    영화는 <밀정>, <암살>처럼 독립투사를 다룬 작품들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면서도, 전형성을 벗어난 연출로 개성을 획득합니다. 관객의 눈물을 노리는 연출이나 코믹한 캐릭터 없이 진지하고 무게감 있는 전개를 이어갑니다.

    현빈과 조연들의 열연

    안중근 역을 맡은 현빈은 인간적인 영웅의 모습을 안정적으로 그려냈습니다. 조우진, 박정민, 전여빈, 유재명, 이동욱 등 동료 배우들도 영화의 무게를 함께 나눴습니다. 특히 일본군 모리 역의 박훈과 이토 히로부미 역의 일본 배우 릴리 프랭키는 짧은 출연에도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릴리 프랭키는 ‘늙은 여우’ 같은 위엄 있는 인물로 변신해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줍니다.

     

    <하얼빈>은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과 함께 역사적 메시지를 전합니다. 안중근 의사의 희생과 독립투사들의 고뇌를 스크린에서 만나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