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시세 50% 이하!” 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약 시작

by 러닝숲지기 2025. 4. 7.

목차

    반응형

    ✅ 세 줄 요약

    • LH가 2025년 1차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주택 3003가구의 청약 접수를 시작했다.
    •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30~50% 수준으로,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하다.
    • 4월 7일부터 9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6월 중 예비입주자 발표 예정이다.

    🏠 LH,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주택 3003가구 청약 접수 시작

    📌 저렴한 임대료, 안정된 주거지 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 중산층·서민층을 대상으로 하는 매입임대주택 청약 접수를 4월 7일부터 시작했습니다. 이번 공급 물량은 총 3003가구로, 주변 시세보다 최대 70% 저렴한 조건으로 제공되며, 거주 기간도 최대 20년까지 가능해 장기적인 주거 안정이 가능합니다.

    🧑‍🎓 청년 매입임대주택, 1666가구 공급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만 19세에서 39세 이하의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하며, 총 1666가구가 공급됩니다.

    • 수도권: 767가구
    • 비수도권: 899가구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40~50% 수준으로 책정되며, 기본 거주 기간은 10년, 입주 후 혼인한 경우에는 최대 20년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1인 가구에 적합한 빌트인 가전이 설치된 주택도 제공되어 청년층의 실질적인 거주 편의성을 고려한 점이 눈에 띕니다.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1337가구 공급

    신혼부부 및 신생아 가구를 위한 매입임대주택은 총 1337가구가 공급됩니다.

    • 수도권: 654가구
    • 비수도권: 683가구

    이 주택은 혼인 7년 이내의 예비·신혼부부 또는 신생아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소득과 자산 기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① 신혼·신생아Ⅰ형

    • 주택 형태: 다가구·다세대 주택
    • 임대료: 시세의 30~40% 수준
    • 거주 가능 기간: 최장 20년

    ② 신혼·신생아Ⅱ형

    • 주택 형태: 아파트·오피스텔
    • 임대료: 시세의 70~80% 수준의 준전세형 (보증금 80%, 월세 20%)
    • 거주 가능 기간: 기본 10년, 자녀가 있는 경우 최대 14년

    📝 청약 접수 일정 및 방법

    • 청약 신청 기간: 2025년 4월 7일(월) ~ 4월 9일(수)
    • 신청 방법: LH청약플러스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접수
    • 예비입주자 발표: 2025년 6월 중 예정
    • 자격 검증: 신청자 소득·자산 등 기준에 따라 서류 심사 진행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공고문 또는 LH 콜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매입임대주택, 왜 주목해야 하나?

    높은 집값과 전셋값으로 주거 불안을 겪는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이번 청약은 실질적인 주거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도심 접근성 우수한 지역의 주택을 시세 절반 이하로 장기간 거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기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