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 세 줄 요약
- LH가 2025년 1차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주택 3003가구의 청약 접수를 시작했다.
-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30~50% 수준으로,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하다.
- 4월 7일부터 9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6월 중 예비입주자 발표 예정이다.
🏠 LH,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주택 3003가구 청약 접수 시작
📌 저렴한 임대료, 안정된 주거지 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 중산층·서민층을 대상으로 하는 매입임대주택 청약 접수를 4월 7일부터 시작했습니다. 이번 공급 물량은 총 3003가구로, 주변 시세보다 최대 70% 저렴한 조건으로 제공되며, 거주 기간도 최대 20년까지 가능해 장기적인 주거 안정이 가능합니다.
🧑🎓 청년 매입임대주택, 1666가구 공급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만 19세에서 39세 이하의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하며, 총 1666가구가 공급됩니다.
- 수도권: 767가구
- 비수도권: 899가구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40~50% 수준으로 책정되며, 기본 거주 기간은 10년, 입주 후 혼인한 경우에는 최대 20년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1인 가구에 적합한 빌트인 가전이 설치된 주택도 제공되어 청년층의 실질적인 거주 편의성을 고려한 점이 눈에 띕니다.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1337가구 공급
신혼부부 및 신생아 가구를 위한 매입임대주택은 총 1337가구가 공급됩니다.
- 수도권: 654가구
- 비수도권: 683가구
이 주택은 혼인 7년 이내의 예비·신혼부부 또는 신생아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소득과 자산 기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① 신혼·신생아Ⅰ형
- 주택 형태: 다가구·다세대 주택
- 임대료: 시세의 30~40% 수준
- 거주 가능 기간: 최장 20년
② 신혼·신생아Ⅱ형
- 주택 형태: 아파트·오피스텔
- 임대료: 시세의 70~80% 수준의 준전세형 (보증금 80%, 월세 20%)
- 거주 가능 기간: 기본 10년, 자녀가 있는 경우 최대 14년
📝 청약 접수 일정 및 방법
- 청약 신청 기간: 2025년 4월 7일(월) ~ 4월 9일(수)
- 신청 방법: LH청약플러스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접수
- 예비입주자 발표: 2025년 6월 중 예정
- 자격 검증: 신청자 소득·자산 등 기준에 따라 서류 심사 진행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공고문 또는 LH 콜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매입임대주택, 왜 주목해야 하나?
높은 집값과 전셋값으로 주거 불안을 겪는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이번 청약은 실질적인 주거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도심 접근성 우수한 지역의 주택을 시세 절반 이하로 장기간 거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기회입니다.
반응형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67회 로또 당첨번호 공개! 1등 10명, 당첨금 28억씩 수령 (0) | 2025.04.12 |
---|---|
엄마와 아가를 위한 100% 무료 보험! 우체국 ‘대한민국 엄마보험’ 가입 꿀팁 (1) | 2025.04.09 |
제1166회 로또 1등 14명, 서울 용산 '신문가판점'서 5명 동시 당첨! (0) | 2025.04.05 |
취업 준비하면서 월 20만 원 받는 꿀팁!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0) | 2025.04.03 |
청년도약계좌 4월 신청, 200만 번째 가입자에게 100만 원 경품 증정! (0) | 2025.04.01 |